강아지가 물을 너무 안 마셔요
수분 부족의 위험성과 해결법 총정리
사람도 하루에 1.5 - 2L의 물을 마셔야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것처럼,
강아지도 충분한 수분 섭취는 생존에 필수적입니다.
하지만 실제로는 많은 반려견이 하루 필요한 양보다 훨씬 적은 물을 마시고 있으며,
특히 화식을 하거나 간식을 자주 먹는 아이일수록 물 섭취가 부족해지기 쉽습니다.
강아지가 왜 물을 안 마실까?
1. 사료의 수분 함량이 높아서 (화식, 습식 사료 등)
- 강아지는 기본적으로 수분이 많은 식단에서는 갈증을 느끼지 않습니다.
- 하지만 섭취하는 수분과 직접 마시는 물은 역할이 다릅니다.
2. 물그릇의 위치·냄새·온도가 불편해서
- 냄새가 나는 플라스틱 그릇, 너무 덥거나 차가운 물, 동선이 불편한 위치는 물을 피하게 만드는 요인입니다.
- 특히 정수되지 않은 수돗물에 포함된 염소 냄새는 민감한 강아지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습니다.
3. 신체 질환이나 통증이 원인일 수도
구강 질환, 치통, 인후염, 등으로 인해 물을 마시는 동작 자체가 고통스럽거나, 신장 질환이 있어 갈증을 잘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참고 논문
1. National Research Council (NRC), Nutrient Requirements of Dogs and Cats (2006)
2. Veterinary Clinics of North America: Small Animal Practice, Vol 40, Issue 2, 2010
물을 안 마시면 생기는 문제들
1. 요로결석 (Urolithiasis)
농축된 소변은 결석 형성의 직접적 원인이 됩니다.
특히 말티즈, 푸들, 시츄 등 소형견은 체액 순환량이 적어 위험도가 높음.
2. 신장 질환 (Chronic Kidney Disease)
장기적인 탈수는 신장 기능 저하를 유발합니다.
이로 인해 만성 신부전, 요독증까지 이어질 수 있음.
3. 소화 불량 및 변비
물은 소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, 부족할 경우 대변이 딱딱해져 배변 활동이 어려워집니다.
물을 잘 마시게 만드는 7가지 팁
1. 깨끗한 물 제공: 정수 필터 활용
- 염소 냄새를 제거하는 정수 필터 내장 자동급수기 추천
- 특히 '조용한 펌프 소음' 제품이 스트레스를 줄임
"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."
2. 온도는 미지근하게, 여름에도 너무 차가운 물은 피하기
- 섭씨 15-20도 정도가 적절
- 너무 차가우면 위장에 자극이 갈 수 있음
3. 물을 자주 교체 + 신선한 상태 유지
- 하루 2회 이상 교체, 침이나 털이 섞이면 즉시 버리기
4. 물이 나오는 소리 or 흐르는 물 선호 시 자동 급수기 활용
- 캣파운틴 형식의 급수기는 호기심 자극에 효과적
5. 위치를 생활 동선 근처로! 물그릇은 2-3군데 두기
- 잠자는 공간 근처, 식사 공간, 거실 한 가운데 등에 비치
- 단, 사료 옆은 비추천 (위생 문제 발생 가능)
6. 닭육수 등 무염 맛물 살짝 첨가
- 천연 닭가슴살+정수된 물로 끓은 무염 육수 희석물
- 단, 염분과 지방 없는 상태여야 안전함
7. 먹은 물 양 체크: 계량 눈금 그릇 or 급수기 사용
- 5kg 이하 소형견 기준 하루 최소 250-350ml 필요
하루 권장 수분량은?
1kg 체중당 40-60ml (사료 외 순수 물 섭취 기준)
예) 5kg 강아지 = 하루 250ml 이상 필요
하지만 활동량이 많거나, 더운 계절, 단백질 섭취가 많은 식단을 먹을 경우 더 많은 수분이 필요합니다.
마무리 체크리스트
- 하루 두 번 이상 물 갈아주기
- 정수된 물 제공 여부
- 물그릇 청결 상태
- 물그릇 위치 바꾸기
- 닭육수나 맛물 섞은 물 제시
- 물 섭취량 직접 체크
- 의심 증상 시 병원 내원
추천 아이템
카테고리 | 제품 추천 | 특징 |
정수 자동급수기 | 펫세이프 자동급수기 | 정수필터 + 정숙 설계 |
염지육수 분말 | 순닭가슴살 육수 베이스 | 무염, 저지방 |
계량형 물그릇 | 투명 계량 컵형 그릇 | 눈금 표시로 수분량 체크 가능 |